목록전체 글 (28)
ITFragile

네트워크 종류 - 인스턴스를 연결할 내부용 네트워크 - 물리적인 네트워크에 연결할 외부용 네트워크 외부용 네트워크 외부용 네트워크는 관리자 계정으로만 생성 가능 인스턴스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 라우터를 통해 내부용 네트워크와 연결 라우터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 동일한 프로젝트 혹은 공유된 네트워크만 가능 일반사용자도 생성 가능 연결 시 외부네트워크는 게이트웨이로 설정 내부 네트워크는 인터페이스로 설정 Floating IP 외부에서 인스턴스로 접속 시 사용 외부 네트워크가 있어야 생성 가능 생성 시 주소 범위는 외부 네트워크의 POOL 범위 일반사용자도 생성 가능. 단, 관리자는 IP주소를 지정 가능 생성 후 인스턴스에 연결 후 사용 연결 시에는 하나의 인스턴스에 하나의 IP만 할당 인스턴스에 연결 해제..

네트워크 종류 - 인스턴스를 연결할 내부용 네트워크 - 물리적인 네트워크에 연결할 외부용 네트워크 내부용 네트워크 내부용은 인스턴스 생성 시 필수 항목 서브넷으로 IP 주소 대역을 지정 -> GW 주소 설정 및 DHCP 사용 설정 관리자는 공유 방식의 네트워크를 생성 가능 일반 사용자는 사설 방식의 네트워크만 생성 가능하며 이 네트워크는 해당 프로젝트에서만 사용 가능 네트워크속성(종류/IP/GW) 등을 물리 환경과 동일하게 설정해야 동작 일반적으로 공유방식으로 생성 내부용은 네트워크는 인스턴스 생성 시 필수 항목으로, 서브넷으로 IP 주소 대역을 지정하여 GW 주소 설정 및 DHCP 사용 설정이 가능하다. 공유 네트워크 생성 일반 사용자는 사설 방식의 네트워크만 생성 가능하여 해당 프로젝트에서만 사용 가..

인스턴스 생성 과정 1. 이미지 생성 2. Flavor 생성 3. 네트워크 생성 (내부용) -> 내부통신만 가능 4. 네트워크 생성 (외부용) 5. 라우터 생성 및 연결 => 내부에서 외부 6. Floating IP 할당 7. 보안그룹 생성 및 규칙 설정 => 외부에서 내부 8. 키페어 생성 => 사용자 패스워드를 모를 때 9. 볼륨 생성 및 연결 => 데이터 영구 저장 Image 생성 - 부팅 가능한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는 가상머신의 디스크 파일 - Glance 서비스로 관리 - 설치시 백엔드 스토리지 설정 - 사용자가 명령어(openstack) 혹은 대시보드(horizon)에서 이미지 생성 작업 수행 - protect 설정 시에는 삭제 불가(관리자 포함 ) - public 설정 시에는 모든 사용자가..

OpenStack Open Source Cloud Computing Infrastructure - OpenStack OpenStack Docs: Zed 풀링된 가상 리소스를 사용하여 프라이빗 및 퍼블릭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오픈소스 플랫폼 -> 클라우드 환경을 만들어주는 도구 아키텍쳐 1. 물리적 구성 a. Controller Node - 오픈스택 플랫폼 구성 및 관리 - 고사양의 시스템이 요구 - 클러스터 구성을 권장 b. Compute Node - 인스턴스(가상머신)에 대한 하드웨어 리소스를 제공하는 역할 c. Storage Node -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역할 - Block Storage / Object Storage d. Network Node - 인스턴스의 네트워크(외부) 구성을 제공 2..

불필요한 리소스 낭비를 줄이고 파드 개수를 리소스 사용량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해 deployment에 hpa 구성 설정을 해준다. 1. hpa 생성 # hpa.yaml apiVersion: autoscaling/v1 kind: HorizontalPodAutoscaler metadata: name: hpa-webserver labels: app: myweb spec: scaleTargetRef: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name: myweb minReplicas: 2 # 최소 파드 개수 2개 maxReplicas: # 최대 파드 개수 10개 targetCPUUtilizationPercentage: 50 # cpu의 평균 사용량 50% 기준으로 제한/생성 ..

1.DB 구성 먼저 DB에 직접 접속하여 연걸할 db, table, user 생성한다. kubectl exec mydb-0 -it -- bash 만드는 건 [Linux] 01. 작업 환경 구성 (tistory.com) 참고~~ 현재 파드 상태 2. 컨피그맵으로 연결한 index.php 수정 # index.php 3. 서비스 타입 변경 현재 웹서버는 인그레스로 접근시 curl로는 php,html 출력되지만 웹에서 직접 도메인 접속을 확인할 수 없음 따라서 서비스를 Loadbalancer로 바꾸어 external ip를 부여받아 확인 해보자. 다시 서비스와 디플로이먼트 실행하면 서비스 타입이 로드밸런서로 변경되고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external ip가 부여되었다. 해당 ip로 접근시 두 파드를 번갈아서..